-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네트워크 2024. 11. 7. 15:01
네트워크 연결 시, 자동으로 IP주소를 할당해주는 기능
정확히 얘기하면, DHCP Server가 DHCP Client로 부터 IP할당 요청을 받으면
Server측에서 사용가능한 IP를 전달하고, 전달받은 IP를 DHCP Client가 사용
DHCP Server가 IP주소를 전달할 때, 주소외에
1. 서브넷 마스크
2. 디폴트 게이트웨이
3. DNS서버 IP주소
4. 도메인 이름
같은 정보도 제공
1. 클라이언트 [DHCP-DISCOVER] DHCP 서버를 찾아 IP 주소 할당을 요청(DHCP 클라이언트, 브로드캐스트로 뿌림)
2. 서버 [DHCP-OFFER] 할당 후보 IP주소를 제시
3. 클라이언트 [DHCP-REQUEST] 후보로 제시된 IP주소 사용을 요청, 혹은 사용중인 IP 주소의 유효 기간 연장을 요청
4. 서버 [DHCP-ACK]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들임
DHCP서버는 대체로 같은 클라이언트한테 가능한 같은 IP를 할당하도록 동작한다
=> 이전에 사용하던 IP주소가 사용중이 아니라면 대부분 다시 같은 IP주소를 DHCP Client에게 전달한다'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Internet Protocol) (1) 2024.12.02 VPN (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CPE[Customer Premise Equipment]) (0) 2024.11.28 Network Device (0) 2021.12.04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 (0) 2021.11.28 Network Layer(IP) (0) 2021.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