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twork Device네트워크 2021. 12. 4. 10:33
[허브]
- 들어온 Frame을 모든 포트에 전달해주는 장비.
[스위치]
- L2헤더를 처리하는 장비
- Mac Address 테이블을 만든다
- End Host Network Access.. 즉 컴퓨터와 바로 붙어있는 기기
- Mac Address Table에 아무것도없는.. 처음 켜진 스위치의 경우, 들어온 Frame을 모든 포트에게 전달한다.(물론 Frame이 들어온 포트를 제외하고 전달, Frame이 들어온 포트는 Mac Address Table상에 몇번 포트는 무슨 Mac address이다" 를 저장 하겠지)[라우터 (L3 장비)]
- IP 헤더를 보고 뭔가를 결정하는 장비
- 서로 다른 Network을 연결해주는 장비
- Routing 과 Forwarding 해주는 장비
- Frame이 라우터의 인터페이스로 들어오면 Frame의 L2 헤더(이더넷 헤더)를 보고, 즉 DMAC(Destination MAC 주소)을 보고 "나에게 온것이 구나" 라고 확인 후 Frame을 받는다 , 받은 Frame의 L2헤더를 떼버리고, IP헤더를 본다, IP헤더를 해석해서 DIP(Destination IP)를 보고 자신의 라우팅 테이블을 검색해서 내가 가지고 있는 인터페이스 중에 어디로 내보내야할지 결정하는게 라우팅 단계
Forwarding
- 이 인터페이스 연결된 L2 media 프로토콜을 보고 L2헤더를(보통 이더넷 즉 DMAC 이겠찌) 붙인다 L2헤더를 찾는과정에서 ARP가 진행됨.. 자신(라우터)의 ARP 테이블을 뒤져서 라우팅 테이블에서 확인된 next hop IP에 대한 정보에 대한 ARP 테이블을 뒤져서 MAC정보를 확인한 다음에 DMAC을 적는다
라우터의 부가 기능 ACL(IP를 기준으로 통과를 시킬지 말지 결정하는 방화벽 보안 기능으로 사용가능)
[L4 스위치]
- 로드 벨런서 역할, TCP UDP 헤더까지 보고 뭔가 액션을 취한다
[L7 스위치]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VPN (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CPE[Customer Premise Equipment]) (0) 2024.11.28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0) 2024.11.07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 (0) 2021.11.28 Network Layer(IP) (0) 2021.11.27 Transport Layer(TCP/UDP) (0) 2021.11.26